한시속으로

[스크랩] 自題家族寫眞 ,,,, 가족사진을 보며 쓰다

아우구스티노박 2016. 2. 11. 20:38



          가족들이 사진 속에서

          웃으며 말 없이 있는데

          안색 표정  모두가 평온하고 부드럽구나,


          자식들은  시집 장가 가서 귀한 손주들 있고

          아내는  공경 사랑하여

          아름다운  근본의 어미로구나.


           새상 살아 가며 가난하지도,

           또한 부자이지도 않았으며

           지금 까지 저속하지 않으나,   존중 받지는 못 하구나


           내 모습 아직 젊어 보이고 ,때로는  한가롭게 살아가니

           흔쾌히 백락천 선생을  본 받아서

           나를 길러  수양 해 본다.



           寫 眞 家 族 笑 無 言        顔 色 表 情 皆 穩 暖

        賤 息 婚 姻 孫 玉 葉        寡 妻 敬 愛 母 珠 根

        非 貧 世 上 還 非 富        未 俗 今 來 亦 未 尊

        我 貌 尙 靑 時 自 適        樂 天 甘 效 養 思 軒

                                                   (自題家族寫眞) 


       .....................................................................................

        暖      부드러울 훤

        賤 息(천식)   자기 자식을 낮춰 일컫는 말

        寡 妻(과처)   자기 처를  낮춰 부르는 말

        樂 天(낙천)  白居易 .   號는 香山居士


       

          20 여 년도 넘은  가족사진이  벽 한 쪽에 걸려 있다.  딸. 아들이  고등학생

                   때이니 나도 한창일 때이다.  이 사진 이후에도 아이들 결혼식에서 가족사진을

                   찍었지만, 은색 액자에 우아(?)하게 자리 잡고 있는  오래된 사진이 좋다.

                   4인 가족 사진이었는데 이제  9인의  가족 사진이 필요하다. 


        白樂天 의 .  "自題寫眞" 을  음미해 본다.  그가 자신의 초상화를 보고 자기 성품을

        쓰고,  세상과  맞지 않으니 일찍 물러나 保身하겠다 한다.


        나는 사진 속에서 그냥 웃고 있다.  머리 숱도 제법 있다. 자꾸 지금의 생활과 겹처서

        보인다.   다행스럽다.  아이들은 시집 장가 가서 손주들 안겨 줬고, 내자도 그럭저럭

        건강하여 손주들 보살피고,,, 가난하지도, 부자도 아니고,, 출세하여 존중 받지도.

        천박하지도  않으며.   樂天 선생이  詩. 酒. 琴 을  좋아했 듯이  나도 술 좋아하고

        판소리에 빠지고,  漢詩에 녹아 든다.


        樂天의 섬세하고. 감각적이며,  인자한  성품을  따라가 보며 내 노년을 길러 본다.



        2016.2.11.   思軒










    

출처 : 漢詩 속으로
글쓴이 : 사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