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왕좌진의 봉피리,,,앞내 버들은,,,(2011.년말발표회, 목요반 발표곡입니다)
목요반 , 여러분 열심히 연습중인데 가사(?)외우기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하여
이것, 저곳 찾아봤습니다. 뜻을 이해한후 외우는 타입이라서,,,,
각자 소지하시고 계시는 정간보 참조하시면서 주석 참조하여 외워봅시다,,,,
왕자진(王子眞)---王子晉 인듯,,,,주나라 영왕의 태자 진(晉), 생황을 잘불었고 봉황의 소리를 본떠
봉황곡을 만듬.
봉피리 ----鳳피리
곽처사----누구신지???
족장고(竹杖鼓)--굵은 대나무 속을 뚫어 만든 타악기, 세워놓고 막대기로처서 소리낸다.
석연자(石燕子)---成連子(춘추시대 거문고로 유명한 伯牙의 거문고 스승) 의 오기에서 시작한듯,,,
장자방(장량)--중국 한나라 건국공신,, 장자방이 옥통소를 鷄鳴山下에서 부르니 사면초가이던 楚軍이 경황없이 흩어졌다,,,,,,,
해강----혜강(죽림칠현의 한사람)--楚나라 사람
완적(阮籍)-죽림 칠현의 한사람--위나라
격타고(擊打鼓) 취용적(吹龍笛)---악어가죽 북을 치고, 용울음 피리 불고,,,
능파사(凌波詞)---- 파도 타듯 능파의 대열로 추추는 노래가사
봉황사-----보허사(步虛詞)-궁중연계악의 하나- 당나라 악곡애서 조선후기로 ,,,
우리는 봉황사로 합니다잉,,,(애정남-애매한것을 정해주는 남자-의 tone입니다잉,,,개콘에서,,)
채련곡(採蓮曲)---채련대열로 20-30의 미녀들이 서서 춤을 추며 부르는 노래
우의고(예상羽衣曲)---당헌종과 양귀비의 사랑 이야기의 노래
위수변---강태공이 낚시질하며 때 오기를 기다렸던 중국 섬서성 서안에있는 작은강
궁팔십(窮八十)달팔십(達八十)--- 80에 주나라 무왕의 정승이 될때 까지 가난하게 살았고,
후에 80을 영광스럽게 살았다..
청포장(靑布帳)----푸른천으로 만든 휘장,.
유록장(柳綠帳)-가지가 휘늘어저 늘어선 버들
춘비춘흥(春悲春興)---봄의 애환(?)과 흥취
다른 의미가 있다면 댓글로 주세요,,, 잘외워서 좋은 발표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