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이후 한시

[스크랩] 黑白調和都心鵲.....흑백이 어울리는 도심 까치들...

아우구스티노박 2018. 9. 29. 17:09


매일   아침   까치는
알람시계인 양   울어대고
늦게   잠든   내자는
아직   꿈 길  걷는구나.

 

창   밖으로   구름 사이
가을  색   멀리  떠 있는데
영국  사는   손자  얼굴
써늘한   가슴   스쳐간다.

 


日 朝 喧 鵲 自 鳴 鍾            枕 裏 情 人 尙 夢 逢
窓 外 雲 間 秋 色 遠            在 英 孫 貌 貫 寒 胸
-------------------------------------------------

喧 鵲 (훤작)  떠들썩할 훤.    까치 작        

自 鳴 鍾 (자명종) 미리 정하여 놓은 시각이 되면 저절로 종소리가 나도록 장치가 된 시계

 

 

              

                                

          

 

아침이면    4-5  마리  까치  떼들이    주변 집  안테나  등에   모여  앉아   울어댄다.
배에는   하얀 드레스  입고,   등에  검은색   망토를   걸친  신사 숙녀   까치들이다.
어제  같은   오늘이겠지만   혹시(?)함이   잠깐 지나간다.

 

언제부터인가?   아내보다   일찍   잠자리에  들어   아침이면   알람에   의존하지
않고  혼자서   일찍  일어나서    조용히  문 닫고  나온다.
창  밖에서는   까치들이  한창이다.     가을  색이  완연하다.
통통한  손자  얼굴이   구름 속에  웃고 있다.

 

아들이  영국에서  직장생활 시작하고 ,  초등학교  교사인  며늘아기가  동반휴직을 하여   손자와 함께

영국으로  갔다.     벌써  2년이 되어 간다.   

요즈음은   무료 화상  통화가 되어서  참으로  편리하고  좋다.  

 

동반  휴직 중인  며늘아기는  서울에  특별한(?) 일이  아니면  휴직 중에  들어와서는  안된다 하는....  

규정 때문에,,,,  아들의  여름휴가에도,,. 손자의 방학 중에도... 우리는  화상통화로  만족해야 한다.

 

큰집  조카  결혼이   다음  달인데,    아들  식구들이  잠깐이라도   들어왔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요즈음   아침  까치들이  더  요란해진   것일까?
매일  보다시피 하는   외손주들도   토. 일요일 지나   월요일 보면  더 반가운데
며느리가   못 들어오니   9살  친손자도   못 들어온다.

 

저 까치  아침   울어대어,  훌쩍  커버린  손자  손잡고  웃는 10월을  만들어주려나?

 

      2018.9.29.    思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