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이후 한시

惜春三月,,,,,,춘삼월을 애석해 하며...|

아우구스티노박 2020. 3. 19. 15:31

 

 

 

.

봄빛은    칼날  같아서

부서지고    흩날리고.

거울  속  내  모습은

웃음  역시   찾기  어렵구나.


돌림병으로    칩거하니

情을  메어두지   못하여,

목련꽃   버들  여린  눈에도

내  마음   그저 그러  하구나...

 


春光銳利碎中霏

鏡裏流年笑亦稀

疫疾蟄居情不繫

木蓮柳嫩與心違

----------------------------------------------
柳嫩(유눈)  버들의  어린 눈

 

           
                                 

                             

 


칩거,  은둔 생활  비슷함이   계속되니 ,  공자님이   말씀하신    愼獨(愼其獨)
자연  실천(?)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리에  맞지  않음을   삼가는  정도이지만, 

도리에   맞추어   실천을 ,   그에  맞는   행동을  하기에는   무리이다.
속절없이,, , 무심하게,,  , 그저  그러하게  지나간다.

 

멀리  있는  아들네  식구들,,  가까이  있는  딸네   식구들,,  그리고  모두들이   걱정된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   그들에게   걱정   끼치지  않는  정도일까?

 

春三月에  ,,,,情不繫 ,,,,?      가을에는 떠나지 말라는 ,, 최백호의 “내 마음 갈 곳을 잃어” 가 

되지는  않도록   해봐야 할 일이다.

 

 

   2020,3.18.  思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