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속으로

[스크랩] 行不由徑,,,( 군자는 대로행이라,,,)

아우구스티노박 2016. 6. 10. 11:34




          남이 타고 있는 급행열차에

          자리 얻어 타고 갈 수 있으랴?

          코끼리처럼  뚜벅뚜벅  거리낌 없이 걸어가라


          한 평생을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어디로 가시는가?

          마땅히 지킬 일 지키고 굽은 길 가지마소.



           可 忍 便 乘 車 急 行          堂 堂 如 象 步 專 橫

           平 生 趁 走 何 方 向          大 道 無 門 曲 徑 輕


           ---------------------------------------------------------------------

           可 忍(가인) 차마 할 수 있으랴?

           專 橫(전횡) 권세를 오로지 하여 제 마음대로 함

           大 道 無 門 = 行不由徑 = 君子 大路行

           曲 徑(곡경) 꼬불꼬불한 길




           골프나 당구를 치며 하루를  친구들과 함께해 보면, 함께한  사람들의

          성격이 거의 드러난다.     골프 라운딩 중에  볼을   치기 좋은 잔디 위로   슬쩍

          옮기는  행위를  가끔 보기도 하며,  동반 골퍼들이 놀랄 만큼 잃어버린 볼을 잘 찾아

          내어(?) 의심을 받기도 하는  친구도 있다.    잔꾀를  부려서  그날의 결과가 좋으면

          본인 마음도 좋을까?,,,정도로 생각하면서  그냥 웃어주고 모른 체 한다.


          세상사는  묘하다,  정의롭고 공평무사한 사람들 보다는  잔꾀와 이기적인  사람이

          빨리 성공하고 더 잘 살아간다.


          그 옛날에도 이런  일들이 허다하였는지  공자님께서도  한 마디 하셨나 보다.

          논어   衛靈公(위령공) 편에서,,,,"群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  ( 여럿이

          함께 하루 종일 있으면서 의로움을  말하지 않고  잔꾀 부리기만 좋아한다면 위험한

          일이로다,,,,)  하셨고,   또  雍也(옹야) 편에서는  " 行不由徑 " 을  말씀하셔서 ,

          샛길로 가지 말라 하셨다.


          해병대 지원 입대하여 출발하는  아들에게,  선친께서는  ' 군대는  要領이다 ' 라고

          하셨는데,  30년 쯤 후에  내 아들이 공군 입대 할 때에  ' 군대 생활 충실히 하라 ' 고

          했던 기억이다.   성삼문의  죽음에 임하여 쓴  절명시(臨死賦絶命詩) 처럼  기개 높고,

          잔꾀 부리지 않고  살아가기가  쉬운 일인가?    요즈음은 손주들에게  ' 마음을 크게 먹고

          네 꿈을    키우며  살아가라 ' 고 말해준다. 

          옛말에  " 곳()집이 차야  예절을 안다. " 고  했던가?


              2016.6.10.   思軒


         


출처 : 漢詩 속으로
글쓴이 : 사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