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이후 한시

潦 ( 장마 )

아우구스티노박 2019. 7. 31. 22:22

 

 

 

      

창  밖에  장마  비  내려도
개구리울음  들리지  않고
마음의  눈은   흔들려서
‘나무아미타불’  중얼거린다

 

더운   여름 심해가니
가을이 멀지  않았구려,
사소한  허물들은   뒤에  물리치고
먼저   우울해짐을   피하소.

 

 

 積 霖 窓 外 小 聲 蛙                心 眼 招 搖 嘀 釋 迦
 炎 夏 將 深 秋 不 遠                微 瑕 後 擊 鬱 先 遮
--------------------------------------------------

積 霖(적림)   장맛비

蛙 (와)  개구리, 井中之蛙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세상 물정을 너무 모름

 

招 搖(초요) 자꾸 흔들림 , 이리저리 헤맴
嘀 (적)  중얼거리다
微 瑕 (미하)   사소한  허물.  白玉之微瑕 ; 흰 옥 에도 흠이 있다는 뜻으로,  훌륭한 것에도 약간의 결점이

                   있음을 비유해 이르는 말.

 

 

 

                            

   

 

 

                  

장마가 왔다.    태풍도  왔다.
지금쯤   시골   논길에는  개구리울음  한창 일터인데 ,   창가에   내리치는
비 소리뿐이다.              무덥고  칙칙하고,     마음이  이리저리  흔들리고,,,,

 

카톡  단톡방에   올라온   좋은 글들도   읽어 본다.     모두가  성자가    되려나 보다.
좋고   복된  말들은   다  올라와 있다.     말씀의  풍년이다.

 

그러나,,, 사물을  꿰뚫어  보는,  나의 오랜 친구 ,  野草 송병국 시인은   그의    최근 詩,
“존재의  사슬”  에서 ,   벌레   한 마리를   물고  개미구멍을    찾아가는  장면을
가감 없이   읊어 준다.

 

 

       "    -------------전략-------------
           -----------------------------
           -------------중략-------------
           ------------------------------


          은혜와  축복 가득한  구멍에서   벌레는  생의  마디를   곱게  풀어
          다시  개미로  환생할 것이다.
          그러므로,   神은  어느 쪽을  위해서도  결코  눈물을   흘리지  않으신다. " 

 


 누가   나를  위해  눈물을  흘려줄  것인가? 를  걱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2019.7.30    思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