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이후 한시

過文井驛 문정역을 지나가며...

아우구스티노박 2020. 4. 4. 11:56

   

                   

역 앞   가로수 그늘은
길어져  가고
날마다  송파   곳곳에
햇볕  드는구나,
몸은  귀뚜라미처럼   숨어 살고
늘  경계하고   삼가고
마음은   파발마  되어
공중을   빙빙  날아다닌다.


벚꽃이  눈에  가득하여
그  향기   싫지  않은데
변변치  않은 음식   홀로 하니
민망하고   또  황당하구나.
어찌  편히만  살려고
세속에   융합 하리오?
봄날  일들을  헛되이  그저  보내고 있으나
평상심을    찾아보리라
                       



驛前街路樹陰長
日日松坡處處陽
身蟀隱居恒戒愼
心馬擺撥試飛翔


櫻花滿目香何惡
簞食單床憫且荒
豈必務安融世
虛送春事願平常
----------------------------------------------------------------------------------------------
松坡 (송파)  서울시,  송파구.(솔)   귀뚜라미  솔.  (실)귀뚜라미 실擺撥馬(파발마) 열릴파,   다스릴 발.  조선 시대, 공문을 급히 전달하던  사람이 타던 말何惡(하오) 어찌 싫어하랴?簞食瓢飮(단사표음) 도시락에 담긴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豈必(기필)  어찌  반드시 ,,,,,,하랴?






                           
                                             




50년  전 쯤,   우리가  20대일  때는  서로   편히  느낄 수 있는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는
60 - 70 cm 이라 했는데,  점점  그 거리가    줄어들어서    10 -20 cm 이다가,   거의  붙어 있는 

수준으로 갔지요.       우리도   전철에서   바짝   붙어있어도   별로   불편하지  않았고요.,


아...아..   코로나19가   이 거리를    2-3  미터로    늘려  놓아서,  이제는    거의 남. 여 7세
부동석  수준으로 갔습니다.

 
 “그대는  사람들과의  거리가  얼 마쯤 일 때    편안함을  느끼시나요?   그대  친구와의  사회적 거리는?”  
하고   친구들   단톡 방에   슬쩍  올려  놓아   보았지요,,
 “마음의   거리 만   멀어지지   않는다면   지구 반대편에  있어도  친구는 친구,,,” 라는    원론의 댓글이 

있었지요.

마음의  거리야   그러하겠지만,    우리들의  사회적 거리는    50-60 cm 는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연인과의  거리야  다른 사항이구요,.


문정역을   오르락내리락하며    코로나19로   떨어져  나간   평상심을   찾아봅니다.

감귤  봉지 안에서, 1-2개  썩어 가는 귤을  들어내며 , 코로나19 를  들어내는 아침입니다.





2020,4,3,  思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