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희이후 한시

暇日思 ,,,휴일에 생각해 보는 것들

아우구스티노박 2020. 1. 4. 13:02

 

 

 

창문 너머  서쪽을  바라보다

머리 돌려  동쪽을  살펴보며

끊임없는  생각 속에 

이 한 몸을  관조해본다.

 

신중하고   말소리  줄임은

공연한  바람이었고

경박하고   말 많음이

어쩔 수  없이  항상  따라다녔구나.

 

한때는  위엄 있고  열심히  살면서

교만한 기운도  있었지만

나이  들어가며   온유해지고

알맞고  적당함에  부합해 갔구나...

 

정의로움과   공평함은

세상 판단을   따라가겠지만

나를 위해   그 누가  거문고 치고

소리 높여  노래  불러주려나?

 

 

隔窓望西首東窺    

觀照微躯不極思

愼重少言空所願    

薄輕多辯强常隨

 

一時栗勵添驕氣    

年老溫柔附合宜

正義公平從世判     

彈琴爲我唱高誰

----------------------------------------------------------------

觀照 (관조)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을  관찰하거나  음미함

微躯 (미구)  자신을  낮추어서  이르는 말

不極(불극)  ,,, 끊임없이
栗勵 (율려)  위엄 있고  부지런한
合宜 (합의)  합당하고  알맞은
彈琴 (탄금)  거문고, 가야금 등을  연주하다.

 

 

                                         

                                                 

                                 

 


                  

고등학교 2 학년,   국어시간에  " 觀照"라는   단어를  선생님이   설명해 주시는데
이해하기에   꽤나  어려웠던  기억이다.
“내  밖에서  내가  나를  고요한   마음으로  비추어  보고 음미한다,,,,,”

내가 나 밖으로 나가기도 어렵고,  내가  나를   비추기는,,,,참으로  어려웠다.
그 觀照를   지금 하고  있는  것이다.

 

복잡하고  번거롭지는   않지만,    무엇인가?   할  일이  남아 있는 듯한   서울생활을
벗어나  조금은  단조로운   휴가에 들어서니,   조금씩   나를   들여다보게  된다.
특별하게   살아온 것도  아니지만,   시시때때로   “욱,,,”  하기도  했던   버릇이, 많이  고쳐지고 있다.

다행이다.

 

요나스  요나손의   장편소설.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을   빠르게  독파(?)하고 보니, 

때로는   “욱”함도  필요하고,   또,   “그냥, 그러러니,,,”하고  살아감도   좋아 보인다.    

딸이  보던  책을   내자가  여행에  들고 왔고,   내자가  보던  책을    내가 먼저 보았다.  

읽고  나서   친구에게도   일독을   추천해 줬다.

 

해를  넘기는  년 말에   나를  조용히  돌아다볼 수 있음에  감사하며,

새롭게  찾아오는  해를  생각해  본다.


크게  바뀌지 않고  그렇게  살아갈 것이다.  경자년에도.,,,.

 


    2019.12,29  思軒